사회 초년생의 기본 연봉이라고 할수 있는 연봉 3000(3천)의 실수령은 과연 얼마나 될까요? 이제 막 처음으로 입사한 신입사원에게는 세상 그 어떤 주제보다도 중요하고 궁금한 문제일텐요. 3천만원을 12개월로 나누면 250만원. 하지만 월급명세서에 찍히는 금액은 250만원보다 적을수밖에 없는데요. 4대보험과 소득세 등 기타 세금을 공제하고 남은 연봉 3000(3천)의 실제 수령액을 계산해보겠습니다.
연봉 3000(3천) 실수령액
연봉이 얼마든, 실수령을 계산할때 중요한게 있습니다.
바로 부양가족수와 자녀수 인데요. 비과세, 즉 세금을 떼지 않는 교통비나 식비는 대략 비슷하므로 고려하지 않고, 부양가족수와 자녀수만 고려해서 계산기를 돌려보겠습니다.
부양 가족은 본인 뿐이라고 가정했을때 연봉 3000의 실수령액은 연봉기준 27,019,800원이며, 월급기준 225만원 정도입니다. 250만원에서 25만원 가량이 줄어든 셈인데요. 국민연금 등 4대보험료로 빠지는 금액이 20만원이 넘습니다. 물론 4대 보험은 의무이기 때문에, 이를 줄일수는 없습니다. 아직 연봉이 높지 않기 않기 때문에 세금은 3만원 내외입니다.
만약 부양가족이 있다면 어떻게 달라질까요?
결혼해서 아이가 1명 있다고 가정하면, 부양가족은 본인 포함 3명이 됩니다.
실수령액 계산 결과 큰 차이는 없지만, 세금이 조금 줄어 들어서 월급이 2만원 정도 오른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봉이 낮을 때는 부양가족 여부에 따라 월급에 큰 차이가 없지만 연봉이 높아질수록 세금을 많이 떼기 때문에 부양가족은 아주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어서 연봉 4000(4천)의 실수령액도 한번 계산해보겠습니다.
연봉 4000(4천) 실수령액
회사마다 연봉은 다르고, 개인의 능력에 따라서도 연봉은 차이가 날텐데요. 3000만원으로 시작하는 신입사원이 있는가 하면, 첫 연봉을 4000(4천)부터 시작하는 분들도 있을 것입니다. 이분들은 실수령액을 얼마나 받는지 한번 계산해보겠습니다.
연봉이 높아진 만큼 4대보험료과 소득세도 연봉 3천에 비해 더 많이 공제되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봉 4천의 실수령액은 연봉 기준 35,347,240원, 월급기준 294만원 정도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봉이 천만원 오르면 월급은 약 70만원 오른다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회 초년생 여러분, 꼭 연봉의 실수령액을 확인해서 적금 및 한달 생활비 지출 등 자금 계획을 알맞게 잘 세우시길 바랍니다.
연봉 6000(6천) 실수령액 계산해보기
연봉에서 중요한 것은 실수령액이라는 건 다들 잘 알고 계실 겁니다. 연봉이 6000이라고 해서 월급을 6천 나누기 12로 받는건 아니라는 거죠. 왜냐하면 4대보험을 포함해서 소득세 등 기타 세금을
hyacinth83.tistory.com
연봉 7000(7천) 실수령액 계산해보기
직장을 찾는 분들, 혹은 직장을 다니면서 새로운 연봉 계약을 앞두고 있는 분들이 명심해야 할게 하나 있습니다. 내가 계약한 연봉과 실제로 받는 돈, 즉 실수령액은 조금 다를 수 있다는 것인데
hyacinth83.tistory.com
2024년 4대보험요율표 한눈에 확인하기
우리나라 4대 보험료 요율 책정 방식은 각각의 보험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보험료는 정부, 관련 기관, 그리고 보험제도의 재정 상태에 따라 결정되며, 사회적, 경제적 요인을 고려하여 조정되는
hyacinth83.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