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오늘부터 당장 바꿔야 할 잘못된 운전습관 7가지

by 이야기 팩토리 2017. 10. 13.
반응형

오늘부터 당장 바꿔야 할 잘못된 운전습관 7가지

 

 

운전을 하다보면 저마다의 습관이 생깁니다. 특히, 운전경력이 오래된 사람일수록 자신만의 운전스타일을 고수하는 경향이 높은데요. 안타깝게도 우리가 옳다고 믿었던 운전습관 중에는 자동차의 수명을 갉아 먹거나 위급한 순간에 큰 사고를 부를 수 있는 잘못된 습관이 녹아 있습니다.

 

이제 막 운전을 배우기 시작하는 사람은 이런 잘못된 습관을 배우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는데요.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굳어진 잘못된 운전습관 7가지를 모아봤습니다. 만약 여기에 해당된다면 오늘부터라도 당장 잘못된 습관을 고치시기 바랍니다.

 

 

 

1. 기어 스틱에 손 올려놓기

 

아마도 많은 분들이 한손 운전을 즐겨 하실 겁니다. 두 손으로 운전대를 잡는 건 초보처럼 느껴지기도 하고, 한손으로 운전대를 잡고도 충분히 운전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보통은 왼손으로 운전대를 잡고 오른손은 기어스틱에 올려놓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런 습관이 반복될 경우 기어 박스에 일정한 압력이 가해지게 되는데요. 이게 쌓이다 보면 나중에는 기어 변속에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운전은 두 손으로 하는 습관을 들이고 한손으로 하더라도 한손은 기어 스틱이 아닌 다른 곳에 두는 게 좋겠습니다.

 

 

 

2. 연료가 바닥 난 다음에 주유하기

 

연료를 다 비운 뒤 주유하는 게 경제적이라는 잘못된 소문이 퍼져 있는데요. 연료가 다 떨어진 상태로 자동차를 방치할 경우 기계적 불순물이 연료탱크에 축적되고 퇴적물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또한 먼지가 연료펌프와 필터에 들어가 손상을 입힐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연료통에 빨간불이 들어오기 전에 주유하는 습관을 들이시기 바라며, 완전 가득 주유하기 보다는 3/4정도로 적당히 주유하기 바랍니다. 완전 가득 주유할 경우 자동차가 무거워져 연비에서 오히려 손해를 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3. 브레이크 자주 밟기

 

차가 자주 막히거나 서행해야 하는 구간에서 저지르기 쉬운 실수인데요. 엑셀과 브레이크를 번갈아 자주 밟기 보다는 천천히 가다가 여유를 두고 제동하는 것이 좋습니다. 브레이크를 자주 밟게 되면 브레이크 패드가 금방 닳게 되고, 디스크 교체 주기도 빨라집니다. 그만큼 돈이 더 들어가게 되므로, 브레이크를 지나치게 자주 밟는 습관은 하루 빨리 고치시기 바랍니다.

 

 

 

4. 소리에는 이유가 있다

 

간혹 운전 중 차체 내부에서 이상한 소리가 들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땐, 별거 아니겠지 하고 무시하기 보다는 꼭 정비소에 들러 점검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차에서 나는 소리는 이유 없이 나는 소리가 없습니다. 이런 소리를 무시할 경우 차가 도로 위에서 그대로 멈춰 버리는 일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차에서 부자연스러운 소리, 처음드는 소리, 이상한 소리가 난다면 그 즉시 카센터의 도움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5. 경사면 주차 시 핸드브레이크 사용법

 

경사면에서 주차를 할 경우 핸드브레이크 사용은 아주 중요합니다. 차체에 대한 부담을 줄이려면 핸드브레이크 사용을 꼭 잊지 말아야 하는데요. 풋브레이크로 제동을 하고, 기어를 주차로 바꾼 다음에 마지막에 핸드브레이크를 당기고 그 이후 브레이크에서 발을 떼시기 바랍니다.

 

 

 

6. RPM 과도하게 올리기

 

간혹 엔진소리를 듣기 위해서 RPM을 급격히 올리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특히, 차 시동을 걸고 나서 곧바로 엑셀을 밟아서 공회전을 돌리는 경우가 많은데요. 아무리 요즘 차가 좋아졌다고 하더라도 2,000RPM 이상에서 엔진을 가동하면 엔진에 무리가 갑니다.

 

곧 다가올 겨울철에는 1~2분간 엔진을 작동시킨 뒤 출발하거나 급격하게 속도를 올려 RPM이 높게 올라가는 일이 없도록 해야겠습니다.

 

 

7. 브레이크 밟은 채로 내리막길 운전하기

 

내리막길을 운전하다 보면 차에 가속이 붙아서 반사적으로 브레이크에 발을 갖다 대게 됩니다. 심지어 브레이크를 밟은 상태로 운전하는 경우도 있는데요. 당연히 브레이크에 무리가 가고, 브레이크 패드와 디스크에 마모가 발생합니다.

 

이럴 땐 엔진브레이크를 활용해서 기어를 최대한 낮추고 운전을 하는 게 바람직합니다. 엔진브레이크 사용이 낯설다면 차가 없는 평지에서 엔진브레이크로 제동하는 방법은 연습하신 뒤 익숙해지면 그 후 내리막길에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