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연봉 실수령액
연봉이 높다고 다가 아닙니다. 중요한 건 실수령액입니다. 세금과 4대보험료를 제외하고, 실제로 직장인이 손에 쥐는 ‘세후 월급’이 바로 실수령액인데요. 연봉이 높아질수록 세금이 높아지기 때문에 기대 소득은 줄어들게 듭니다.
물론, 직장마다 상황이 조금 다릅니다. 바로, 세금을 떼지 않는 비과세 비중이 다르기 때문인데요. 일반적으로 식대로 책정되는 금액, 월 10~15만원은 세금이 부과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2018년 올해 연봉 실수령액은 어떻게 될까요? 연봉계산기를 통해서 대력적으로 산출해보았습니다.
- 비과세 : 10만원으로 통일
- 부양가족 : 1명으로 통일
- 자녀 : 없음으로 통일
부양가족과 자녀가 있으면 그만큼 세금이 낮아지므로, 실제 실수령액은 조금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참고용으로 활용하세요.
연봉 3000만원 이하 실수령액
흔히 세금이라고 말하는 건 위 표에서 소득세와 지방세를 더한 금액입니다. 연봉이 낮을 수록 세금이 적고, 연봉이 높아질수록 세금이 많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봉 1800만원의 실수령액은 137만원정도이며, 연봉 3000만원의 세후 금액 역시 세금과 4대보험료를 공제하면 225만원 정도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봉 3000만원 이상 5000만원이하 실수령액
연봉 4천만원이 넘어가면 소득세가 10만원이 넘어갑니다. 연봉 3천만원의 경우 국민연금이 10만원이 넘고, 연봉 4천만원 이후부터는 건강보험료도 10만원이 넘습니다.
연봉 4천만원의 실수령액은 293만원, 연봉 5천만원의 실수령액은 357만원 정도입니다. 공제액 총액이 확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연봉 5000만원 이상 연봉 1억이하 실수령액
여기서부터는 공액 연봉자라 할 수 있겠네요. 연봉 6천만원대는 소득세로 무려 30만원 이상을 뗍니다. 연봉 1억에 이르면 소득세만 1백만원을 내게 됩니다. 국민연금은 202050원이 최대금액이며, 건강보험은 계속 올라갑니다.
연봉 7500만원부터 공제액 총액이 1백만원을 넘게 되네요.. 한달 월급에서 1백만원 이상 뗀다는 것은 그만큼 연봉이 높지 않으면 불가능하겠죠.. 꿈의 연봉이라 할 수 있는 연봉 1억원의 실 수령액은 663만원입니다. 자녀와 부양가족이 있다면 이보다 더 높을 것입니다. 이 연봉표는 자녀가 없고 혼자살 경우의 가정치입니다.
이상으로 2018 연봉 실수령액 알아봤는데요. 본인 연봉과 세금을 한번 비교해 보시기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