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부24를 사칭한 스미싱 범죄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정부기관에서 문자를 보내면 무심코 링크를 클릭하는 사람들의 심리를 이용해서 가짜 사이트에 접속하도록 유도하고, 핸드폰 번호나 카드 번호 등 개인정보를 갈취하려는 수법이죠. 특히 폐기물 분리수거 위반문자나 음식물 분리수거 위반문자 등이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링크 절대 클릭하지 말기
정부나 지자체 명의로 과태료가 부과되었다고 문자가 오거나 혹은 분리수거를 위반했다고 문자가 오더라도 첨부된 링크는 절대 클릭하면 안됩니다.
정부나 지자체에서는 그런 링크를 유도하는 문자를 보내는 일이 거의 없습니다. 혹시라도 의심이 간다면 지자체 담당 부서로 전화를 걸어서 확인을 하는 게 가장 좋습니다.
상식적으로 생각을 해봐도 음식물 분리수거나 폐기물 분리수거는 지자체 담당인데, 정부24에서 그런 문자를 보낼 일이 없기 때문입니다.
혹시라도 링크를 클릭해서 개인정보가 갈취되었다는 의심이 든다면 아래 절차를 따라서 꼭 필요한 조치를 해주시길 바랍니다.
날로 진화하는 스미싱 수법
보이스 피싱에 이어서 스미싱 수법도 날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폐기물 분리수거 위반문자나 음식물 분리수거 위반문자 뿐만 아니라 카드 신규발급, 택배 조회, 부고 문자 등 국민을 현혹하는 다양한 문자와 링크 등을 통해서 개인정보를 갈취하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연령대가 높은 분들은 가족이나 지인을 사칭하는 문자에 피해를 많이 보고 있으며, 20~30대 젊은 층의 경우에는 정부기관을 사칭하거나 공공기관 사이트로 속여 접속을 유도한 후 개인정보를 갈취하는 피해가 커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정부24 홈페이지를 접속하면, 피싱 문자 사례가 적혀 있으며 각별한 주의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피싱문자 예시는 아래와 같습니다.
- 피싱 문자내용
[민원24] 법적기준초과로 민원접수되셨습니다.
[민원] 쓰레기 무단투기로 단속 되어 과태료 부과되었습니다.
신고는 어떻게?
스미싱 범죄는 신종 사기 수법인 만큼 누구나 방심하면 당할 수 있습니다. 또한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주고 받는 문자를 사칭해서 현혹하는 등 그 수법은 날이 갈수록 교묘해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문자 내 정체를 알수 없는 링크가 있으면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특히 그런 링크는 url 축약을 활용해서 이상한 알파벳과 숫자 조합으로 이뤄져 있는 경우가 많은데요. 축약 url로 첨부된 링크는 클릭하지 않는 게 가장 좋습니다.
혹시라도 스미싱 범죄가 의심된다면, 경찰서(112), 불법스팸대응센터(국번없이 118), 정부민원 안내 콜센터(국번 없이 110)로 신고할 수 있습니다. 꼭 명심하시길 바랍니다.
정부24를 사칭하는 폐기물 분리수거 위반문자는 절대 클릭하지 마시고, 소중한 개인정보를 지키시길 바랍니다.
개인정보 유출 시 이렇게 하세요
과거에는 주로 전화를 통한 보이스피싱이 많았으나, 최근에는 링크를 클릭하게 유도하거나 정부기관을 사칭하는 등 수법이 점점 교묘해지고 있습니다. 혹시라도 보이스피싱이나 스미싱에 당해
hyacinth83.tistory.com
음식물 분리수거 위반문자 조심해야 하는 이유
혹시 음식물 분리수거 위반 문자를 받아보신 적 있나요? 혹은 쓰레기 분리수거를 위반했다는 민원으로 과태료가 부과되었다는 문자를 받아보셨나요? 정부나 지자체 이름으로 이런 문자가 오면
hyacinth83.tistory.com
chat(챗) gpt 4.0 세 달 사용한 솔직 후기
chat(챗) gpt 4.0은 무료버전인 chat(챗) gpt 3.5의 후속 버전입니다. 3.5버전도 워낙 방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무슨 질문이든 척척 답을 내놓기 때문에 굳이 유료버전인 4.0을 사용해야 하는 의문을 가
hyacinth83.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