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4년 고용보험 요율 확인하세요

by 이야기 팩토리 2024. 1. 29.
반응형

2024년 국민연금 요율, 건강보험 요율에 이어서 오늘은 2024년 고용보험 요율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고용보험은 일을 하다가 그만두게 될 경우를 대비해서 가입하는 4대보험 중 하나로, 불가피하게 퇴직하였을 경우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근거가 되는 보험입니다.

1. 고용보험이란?

 

고용보험은 사용자(고용주)와 피보험자(근로자)가 부득이한 사유로 직장을 잃었을 때, 구직 활동과 재교육을 지원하는 사회 보험입니다. 이 보험은 근로자가 실직 상태일 때 생계를 유지하고 재취업을 준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주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1인 이상의 근로자를 고용하는 사업 및 사업장을 대상으로 적용하며, 적용 제외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농업, 임업 및 어업 중 법인이 아닌 자가 상시 4명 이하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

-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아니한 자가 소비 활동

- 건설업자 등이 아닌 자가 시공하는 총공사금액 2천만원 미만인 공사, 연면적 100제곱미터 이하인 건축물의 건축 또는 연면적이 200제곱미터 이하인 건축물의 대수선에 관한 공사

2. 고용보험 얼마나 낼까?

반응형

4대보험은 모두 정부에서 정한 요율에 따라서 납부하게 되는데요. 그렇다면 2024년 고용보험 요율은 어떻게 될까요? 

올해는 작년과 동일하게 1.8%로 유지되며, 근로자와 고용주가 각각 0.9%씩 부담합니다. 이 보험은 실업 시 재정적 안정을 제공하고, 고용 안정 및 직업능력 개발을 지원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외에도 사업주만 따로 부담하는 고용보험도 있는데요. 이 비용은 고용안정 및 직업능력 개발사업을 하는데 사용되며, 사업장의 규모에 따라 다릅니다. 자세한 요율은 아래 이미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고용보험료 계산하러 바로가기

4. 실업급여란?

 

고용보험을 납부하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실직이라는 만약의 사태에 대비하기 위해서인데요.

실업급여란, 고용보험 가입 근로자가 실직하여 재취업 활동을 하는 기간에 소정의 급여를 지급함으로써 실업으로 인한 생계불안을 극복하고 생활의 안정을 도와주며 재취업의 기회를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

 

 

실업급여는 크게 구직급여와 취업촉진수당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이상으로 2024년 고용보험 요율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본인 월급기준으로 4대보험이 얼마나 나가고 있는지, 각 보험별 요율을 꼭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2024년 4대보험요율 늦기 전에 확인하세요

직장이라면 누구나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4대보험은 월급에서 자동 공제되기 때문에 우리가 받는 월급은 실제 연봉보다 낮게 책정됩니다. 이를 실수령액이라고 부르는데요. 2024년 4대보험

hyacinth83.tistory.com

 

2024년 국민연금 요율 및 책정방식 알아보기

대한민국에서 일하는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4대보험을 납부하고, 그중 노후를 대비하기 위해서 국가에서 강제적으로 징수하는 국민연금을 성실하게 납부하고 있을 것입니다. 국민연금은 매년

hyacinth83.tistory.com

 

 

2024년 건강보험 요율 알아보기

건강보험은 질병이나 부상으로 인해 발생한 고액의 진료비로 가계에 부담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평소 건강보험료를 납부하고, 건강보험 재정으로 의료비를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 이에

hyacinth83.tistory.com

 

그리드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