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나 지자체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복지제도를 신청할 때 항상 나오는 용어가 있습니다. 바로 ‘기준 중위소득’이란 개념인데요. 기준 중위소득이란 무엇이고 2025년 기준으로 중위소득의 가구별 금액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2025년에는 기준 중위소득이 인상되어서 더 많은 분이 복지 혜택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준 중위소득
기준 중위소득은 정부가 매년 정하는 소득 기준으로, 국민 가구의 소득을 산출한 후 중간 값에 해당하는 소득을 의미합니다.
쉽게 풀어서 설명하면, 우리나라 모든 가구를 소득 순으로 나열했을 때 정확히 중간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의미합니다. 이는 각종 복지 정책의 수급 자격을 결정하는 데 활용되며, 가구원 수에 따라 금액이 달라집니다.
2025년 기준 중위소득 인상
보건복지부 발표에 따르면, 2025년도 기준 중위소득은 4인 가구 기준으로 전년 대비 6.42% 인상되어 월 6,097,773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이는 맞춤형 급여체계로 전환된 2015년 이후 가장 큰 증가율입니다. 1인 가구의 경우, 전년 대비 7.34% 인상되어 월 2,392,013원으로 책정되었습니다.
가구원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표는 아래와 같습니다.
기준 중위소득 80%
기준 중위소득이 중간 값이라는 건 이해가 가는데, 가령 중위소득 80% 혹은 중위소득 120%처럼 뒤에 퍼센티지가 붙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도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기준 중위소득 80%는 기준 중위소득에서 80%에 해당하는 금액을 의미합니다.
2025년 기준 중위소득(4인 가구 기준)은 6,097,773원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80%를 계산하면, 약 4,878,218원이 되는데요. 4인 가구의 경우 월 소득이 약 4,878,218원 이하라면 “기준 중위소득 80% 이하" 기준을 충족하게 되는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중위소득 120%는 중위소득보다 20% 더 높은 소득 수준을 의미하며, 120%를 계산해보면 약 7,317,328원이 나옵니다.
4인 가구의 월 소득이 7,317,328원 이하라면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 조건에 부합하는 것입니다.
복지 혜택의 변화
기준 중위소득이 인상하면서 중위소득을 바탕으로 책정되는 복지혜택에도 약간의 변화가 생겼습니다.
1. 생계급여
2025년부터 생계급여 지원 대상은 기준 중위소득의 30% 이하 가구로 확대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4인 가구의 경우 월 소득이 1,684,000원 이하라면 생계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2. 의료급여
의료급여는 기준 중위소득의 40% 이하 가구를 대상으로 하며, 2025년에는 지원 금액과 혜택 범위가 확대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3인 가구 기준 월 소득이 1,854,000원 이하라면 의료급여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주거급여
주거급여는 기준 중위소득의 47% 이하 가구에 지급되며, 2025년에는 급여 상한선이 인상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주거 환경 개선을 위한 지원이 강화되었습니다.
4. 교육급여
교육급여는 기준 중위소득의 50% 이하 가구의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지급됩니다. 2025년에는 지원 금액이 증가하여 교재비, 학용품비 등 실제 교육 비용 부담을 줄이는 데 기여합니다.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의 인상은 많은 가구에게 더 큰 혜택을 제공할 기회를 열어줄 것입니다. 가구 소득에 따른 복지 정책 지원 여부를 확인하여 필요한 혜택을 놓치지 않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