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야기 팩토리683

2023년 건강보험 요율 알아보기 아플 때 큰 도움이 되는 건강보험. 고액의 진료비가 나오더라도 건강보험 덕분에 저렴하게 병원을 이용할 수 있는데요. 월급에서 자동 공제되는 4대보험 중 하나인 건강보험은 정부에서 정한 요율에 맞춰 매년 다르게 책정이됩니다. 그렇다면, 2023년 건강보험 요율은 얼마나 될까요? 2023년 건강보험 요율 건강보험은 근로주와 사업자가 각각 50%씩 부담하게 됩니다. 가령 건강보험 요율이 10%라면, 근로자가 5%, 사업자가 5%씩 부담하는 것이죠. 2023년 건강보험 요율은 7.09%입니다. 이에 따라 근로자가 3.545%, 사업자가 3.545%를 부담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해서는 감이 잘 안잡히실 텐데요. 이해를 돕기위해서 4대보험 계산기를 통해서 계산해보겠습니다. 만약, 월급이 300만 원이라고 가정해보겠.. 2023. 5. 22.
2차재난지원금 기간 신청 방법 등 모든 것 코로나19로 모두가 힘든 요즘. 정부에서 2차 재난지원금 지급을 시작했습니다. 1차 때 모든 국민에게 동일한 금액을 지급했던 것과 달리, 이번에는 필요한 계층에게 맞춤형으로 지원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래서 2차재난지원금은 ‘맞춤형 긴급재난지원 패키지’라고 사업명을 정했습니다. 긴급 재난지원금이라는 기존 용어와도 조금 다릅니다. 2차재난 지원금은 고용노동부와 중소벤처기업부, 그리고 보건복지부에서 각각 지급을 하는데요.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 우선 중소벤처기업부에서는 크게 5가지 형태로 재난지원금을 지급합니다. 첫 번째는 소상공인 새희망자금입니다. 연매출 4억원 이하의 소상공인, 그리고 집함금지, 영업제한 업종의 업주에게 100만원에서 200만원까지 현금으로 지급합니다. 9.. 2020. 9. 25.
연봉 5000 실수령액 연봉 5000 실수령액 연봉 5000만원을 받는 직장인이 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5000만원을 12개월로 나누면 매월 416만원을 받는 것으로 나옵니다. 하지만 이 사람의 실제 월급은 400만에 못미칩니다. 왜냐하면, 세금을 납부해야 하고, 또 국민연금과 건강보험과 같은 4대보험료가 월급에서 자동공제 되기 때문인데요. 그래서 중요한 것이 바로 연봉이 아닌 세후 금액, 즉 실수령액입니다. 연봉 5000 실수령액을 한번 계산해보겠습니다. 1. 미혼 작장인 연봉 실수령액은 부양가족과 자녀수에 따라서 세금이 달라집니다. 혼자 살 경우 돈을 쓸 데가 없으니 세금을 많이 걷고, 부양가족과 자녀가 많으면 돈 들어갈 일이 많으니 세금을 적게 거두는 것이죠.. 혼자 사는 것도 서러운데 세금까지 많이 내야 하는 것이 조.. 2018. 3. 11.
연봉 1억 실수령액 연봉 1억 실수령액 직장인에게 있어 1억은 꿈의 연봉이라 할 수 있습니다. 신입의 경우 많아야 보통 3000만원부터 시작하게 되는데요. 퇴직할 즈음에 이르러야 1억을 찍고 퇴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특수직종이나 대기업의 경우 연봉 1억을 수년 만에 찍는 경우가 있으며, 능력이 출중 하다면 연봉 협상을 할 때 자신있게 1억을 외칠 수가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연봉 1억 실수령액 은 얼마나 될까요? 쉽게 감이 오지 않는데요. 한번 계산해보겠습니다. 1. 혼자 살 경우 실수령액은 연봉을 12개월로 나눈 월 급여에서 소득세와 지방세를 공제하고, 이어 4대보험료를 뺀 ‘세후 금액’을 말하는데요. 혼자 살 경우 세금이 가장 높게 책정됩니다. 혼자 사는 연봉 1억 직장인의 실수령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봉 1.. 2018. 3. 11.
2018 연봉 실수령액 2018 연봉 실수령액 연봉이 높다고 다가 아닙니다. 중요한 건 실수령액입니다. 세금과 4대보험료를 제외하고, 실제로 직장인이 손에 쥐는 ‘세후 월급’이 바로 실수령액인데요. 연봉이 높아질수록 세금이 높아지기 때문에 기대 소득은 줄어들게 듭니다. 물론, 직장마다 상황이 조금 다릅니다. 바로, 세금을 떼지 않는 비과세 비중이 다르기 때문인데요. 일반적으로 식대로 책정되는 금액, 월 10~15만원은 세금이 부과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2018년 올해 연봉 실수령액은 어떻게 될까요? 연봉계산기를 통해서 대력적으로 산출해보았습니다. - 비과세 : 10만원으로 통일 - 부양가족 : 1명으로 통일 - 자녀 : 없음으로 통일 부양가족과 자녀가 있으면 그만큼 세금이 낮아지므로, 실제 실수령액은 조금 차이가 있을 수 있.. 2018. 3. 10.
2018년 실업급여 금액 2018년 실업급여 금액 2018년 실업급여 금액의 1일 기준 상한액과 하한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 상한액 : 퇴직 전 3개월간의 1일 평균임금의 50%. -이직일이 2018년 1월 이후는 1일 60,000원 -2017년 4월 이후는 50,000원 -2017년 1월~3월은 46,584원 -2016년은 43,416원 -2015년은 43,000원 ▼ 하한액 : 퇴직 당시 최저임금법상 시간급 최저임금의 90% X 1일 소정근로시간 (8시간) -이직일이 2018년 1월 이후는 1일 54,216원 -2017년 4월 이후는 46,584원 -2017년 1월~3월은 46,584원 -2016년은 43,416원 그렇다면 실업급여는 며칠까지 받을 수 있을까요? 나이와 고용보험 가입 기간에 따라 다릅니다. ▼ 30세 미만:.. 2018. 3. 8.

TOP

Designed by 티스토리